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방의 노령화가 급속히 확산된다- 부산광역시 급속히 증가

- 고령화 정도는 군 지역이, 고령화 속도는 시, 구가 빨라

 

고령화가 전례없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 안준기 부연구위원은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해 250개 시군구의 고령화 정도와 속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령화 정도는 인구 밀도가 낮은 군단위 지역이 높으며 노인 부양비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고령화 속도*는 0.677로 최근 7년간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연평균 0.7%p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광역시가 0.968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젊은층의 인구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세종특별자치시는 –0.040으로 가장 느리게 진행된다.  

 

전국 250개 시군구의 고령화 속도는 시 단위나 광역지자체의 구 단위가 빨랐다.

 

이 지역은 자연적 인구 구조 변화보다는 65세 미만 경제활동인구의 유출효과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 상위지역은 산업 재해자 수와 사망자 수도 높게 나타났다.

 

괜찮은 일자리의 부족으로 인한 인력의 유출과 기업의 이전 등 악순환으로 인해 일자리 불일치가 가중되고 산업구조의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위원은 지역별 고령화의 정책과제로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산업구조를 생산성이 높은 구조로 재전환하는 지역 균형발전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미디어아워 김민찬 기자 |



포토

더보기